BCG코리아 – 보스턴컨설팅그룹(BCG) 공식 블로그 Thu, 24 Feb 2022 09:51:14 +0000 ko-KR hourly 1 보스턴컨설팅그룹, ‘위대한 기업의 2030 미래 시나리오’ 발간 /beyond-great/?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beyond-great Fri, 07 Jan 2022 06:12:21 +0000 /?p=4423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Beyond Great’의 한국어판인 ‘위대한 기업의 2030 미래 시나리오’라는 책을 발간하였다. 위대한 기업을 뛰어넘어 그 다음으로 가기 위한 핵심전략과 다양한 리더십 요건을 담은 책으로, BCG의 시니어 파트너인 Arindam Bhattacharya, Nikolaus Lang, Jim Hemerling이 여러 위대한 기업의 고위 경영진들과의 인터뷰와 리서치를 바탕으로 발견한 다양한 분야의 성공 리더십의 요건을 9가지 전략으로 집필한 도서이다.

보스턴컨설팅그룹, '위대한 기업의 2030 미래 시나리오' 발간 1

 

코로나19 대유행, 경제 민족주의 고조, 미국 패권 약화, 기술 혁명 가속등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이 전례 없는 위기를 맞고 있는 지금, 기업의 리더는 어떤 선택을 하고 있는가. 20년 전 위대한 기업으로의 비전을 선포한 기업들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S&P 500 지위를 유지하는 평균 기간이 24년으로 줄어들고 CEO의 재임 기간 역시 짧아지는 등 장수 기업이 줄어들고 있는 오늘날, 향후 10년간 성장할 기업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저자들은 미국, 유럽, 아시아에서 활동하며 ESG 경영, 디지털 전환, 조직 혁신의 전문가이며 현재의 변화의 시기에 비즈니스 리더들이 반드시 선택해야 할 가치와 전략을 제안하고, 위대한 기업의 DNA를 갖출 수 있는 혁신의 길을 보여준다. 이 책은 Beyond Great 라는 원제의 뜻과 같이 과거의 기업 성공 공식과 명확히 단절할 것을 강조하며 성장∙운영∙ 조직 등 3가지 측면에서9가지 변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책에서 말하는 9가지 주요 전략은 다음과 같다.

위대한 기업은 어떻게 더 위대해지는가라는 주제로 기업의 성장전략에 대한 3가지 방법을 말한다. 첫째, 공익에 투자해 더 큰 주주 수익을 얻어라. 둘재, 배송하지 말고 스트리밍하라. 셋째, 글로벌 시장에 작은 몸집으로 깊이 파고들어라이다.

위대한 기업은 어떻게 기술로 혁신하는가라는 주제로 기업의 운영전략에 대한 3가지 방법을 말하고 있다. 첫째, 강한 파트너십으로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라. 둘째, 고객의 바로 옆에서 생산하고 공급하라. 셋째, 글로벌 데이터 아키텍처를 구축하라고 말한다.

세번째 챕터에서는 위대한 기업은 어떻게 움직이는가로 조직의 전략에 대해 말하고 있다. 첫째, 민첩하고 기만한 날쌘 코끼리로 변신하라. 둘째, 인재를 사고 빌리고 연결하라와 같은 인재교육에 대해 말하고 있다. 셋째, 변화에 집중하고 혁신에 집착하라로 혁신 전략에 대해 말하고 있다.

경영 컨설팅의 최강자 ‘보스턴컨설팅그룹’의 비지니스 전략 완전판 기업의 향후 10년을 책임질 9가지 위대한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 다가올 향후 10년의 기업의 미래를 준비해 보자.

 

▶ 관련 기사:

 

 


저자소개
  • . 기업의 세계화, 그리고 산업 기업의 경쟁력 및 성장 전략의 전문가. BCG 뉴델리 오피스의 시니어 파트너로 BCG 인도 대표를 역임했으며, BCG의 싱크 탱크인 헨더슨 인스티튜트의 공동 설립자이자 펠로다. 또한 BCG 리더십 팀의 일원이며 기업의 공공 부문 전략으로까지 분야를 넓혀 옥스퍼드 대학 ‘지속 가능한 발전 센터’의 인도 국제 자문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십수 년간 컨설팅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의 세계화는 쇠퇴하는 것이 아니라 진화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TED 강연을 진행해 큰 호응을 얻은 바 있으며, 새롭게 등장한 글로벌 기업들을 분석한 『글로벌리티Globality』를 공저했다.
  • . 자동차 산업 및 신흥 시장의 국제 비즈니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야의 전문가. BCG 뮌헨 오피스의 시니어 파트너와 BCG 글로벌 어드밴티지 분과의 대표를 역임하고 있으며 지정학, 무역, 합작 투자, 디지털 생태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계화 전략에 중점을 두고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이동성, 연결성, 자율주행 차량 등 모빌리티 관련 BCG 최고의 전문가로, 세계경제포럼WEF과 함께 무인 자동차를 비롯해 미래형 이동수단에 대한 전략을 세우는 데 큰 힘을 보태고 있다. 현재 신흥 시장의 모빌리티 혁신과 메가시티와 같은 주제로 여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지속 가능한 조직 문화, 고성능 조직 혁신 전략 분야의 전문가. BCG 샌프란시스코 오피스의 시니어 파트너이자 BCG의 인력·조직·혁신 분과의 글로벌 대표를 역임하고 있고 있으며 헨더슨 인스티튜트의 펠로다. 25년간 조직 혁신 전략을 연구하고 컨설팅해오며 전 세계 기술, 금융, 제조 산업 등 다양한 기업들에 전체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과를 가져다주었다. ‘사람을 최우선으로 한 조직 변화’를 주제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이 주제를 토대로 한 TED 강연에서 큰 호응을 얻었으며, 『글로벌리티Globality』를 공저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
[보도자료] 보스턴컨설팅그룹 코리아 김서하∙김창욱 매니징디렉터파트너 승진 임명 /new-managing-director-and-partner-announcement/?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new-managing-director-and-partner-announcement Mon, 15 Nov 2021 07:41:59 +0000 /?p=4593 (2021년 11월 15일) 글로벌 경영전략 자문기업 보스턴컨설팅그룹(Boston Consulting Group, BCG) 코리아는 김서하∙김창욱 파트너를 매니징디렉터파트너(Managing Director & Partner·이하 MD파트너)로 승진 임명했다고 15일 밝혔다.

김서하 신임 MD파트너는 2012년 BCG 코리아에 입사했으며, M&A 분야의 전문가다. BCG의 ‘Principal Investors & Private Equity (국부펀드 및 연기금 등 주요 기관 투자자 & 사모펀드)’ 분야의 핵심 멤버로, 고객사들에게 인수 대상 기업에 대한 전략적 실사, 투자 포트폴리오 강화 및 매각에 대한 자문에 주력하고 있다.

김서하 신임 MD파트너는 BCG 입사 전 미국에서 투자 은행인 라자드(Lazard Freres & Co. LLC)와 회계 법인 KPMG에 재직했다. 美 엠허스트대학교(Amherst College) 학부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에서 경제/금융 정책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김창욱 신임 MD파트너는 TMT (테크, 미디어, 통신 / Technology, Media and Telecommunications) 분과 핵심 멤버이자 반도체 산업 전문가다. 메모리, 로직, 아날로그 전 제품군과 설계, 공정, 파운드리, 패키징 & 테스트 산업 밸류체인 전반에 대한 폭넓은 자문 경험을 토대로 MD파트너 선임 이후 BCG 코리아의 반도체 전담팀을 신설하고 팀을 이끌어 갈 예정이다.
김 신임 MD 파트너는 2014년 BCG에 입사했고, 입사 전 A.T. 커니, 액센추어, LG CNS에 재직했으며 연세대학교 금속공학 학부를 졸업했다.

이번 인사로 보스턴컨설팅그룹 코리아는 총 18명 MD파트너 체제를 구축하게 됐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
[보도자료] 칠레 에너지부 –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코리아 수소경제 협력 논의 /chile-bcg-clean-hydrogen-session/?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chile-bcg-clean-hydrogen-session Mon, 08 Nov 2021 05:45:11 +0000 /?p=4526 (2021년 11월 8일) 글로벌 전략컨설팅 기업 보스턴컨설팅그룹(이하 BCG)코리아는 8일 후안 카를로스 호베트 (Juan Carlos Jobet) 칠레 에너지부 장관과 BCG 수소 전문가 그룹이 만나 수소경제 분야의 협력 강화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호베트 칠레 에너지부 장관이 이끄는 칠레 정부 대표단은 이날 서울 중구 BCG 코리아를 방문, 양측은 수소경제 정책·산업 동향을 공유하고 관련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칠레 정부 대표단은 <에너지 전환과 수소 경제>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칠레가 그린 수소 생산 및 해상 운송에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칠레는 남북으로 긴 지리적 조건을 활용, 적극적인 탈탄소화 정책을 펴고 있다. 2030년까지 전체 생산 전력의 60%, 2050년까지는 70%를 태양광, 풍력, 수력 등 신재생 에너지로 충당한다는 ‘에너지 2050 정책(Energia 2050)’을 추진 중이다. 호베트 장관은 “칠레의 주요 항구 인접지에서 경쟁력 있는 그린 수소를 생산하게 될 것”이라며 “이미 60개가 넘는 관련 프로젝트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BCG는 한국의 탄소중립을 위한 청정수소 해외도입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다수 국가와의 협업 중요성을 설명했다. 최인진 BCG코리아 MD파트너(사진 오른쪽에서 세번째)는 “한국의 철강, 석화 등 산업구조를 고려 시 수소가 넷제로의 필수 요소이며 국내 청정수소 생산 여건을 감안하면 상당량의 해외도입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최인진 파트너는 “이미 다수의 국가가 대규모 수소공급 여건을 조성하고 있으며, 칠레는 신재생 에너지 기반의 그린수소 공급 역량이 높은 국가 중 하나”라고 밝혔다.

호베트 칠레 에너지부 장관은 칠레의 국가적 수소 전략을 알리고 관련 투자 및 산업 협력 등을 이끌어 내기 위해 방한했으며, 그 일정의 하나로 BCG코리아를 방문했다. 호베트 장관은 우리 산업부 에너지 차관과의 면담을 비롯, 우리 정부 주요 당국자들을 만날 예정이며 수소 시장을 준비 중인 두산, LG화학 등 국내 주요 기업과도 만날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도(CHPS)를 추진하는 등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지난해 국책과제를 통해 ‘한국형 CO2-free 해외수소 도입 전략 수립’을 추진 중이다. 2030년 이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친환경 수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와 관련, BCG는 다수의 그린 에너지 전문가를 보유하고, 관련 과제를 수행하는 등 정책적인 수소 경제 활성화 노력 및 산업계의 사업 개발 기회 모색 과정에 적극적으로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
[보도자료] 보스턴컨설팅그룹(BCG) 김윤주 MD 파트너, 금융위원장-은행업계 간담회 참석 /pr-md-partner-financial-services-commision/?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pr-md-partner-financial-services-commision Mon, 01 Nov 2021 01:28:40 +0000 /?p=4499 [김윤주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코리아 MD 파트너]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코리아에서 금융기관 경영 관리와 사모펀드, 핀테크 분야에 대한 폭넓은 전략 자문을 제공하고 있는 김윤주 MD 파트너가 지난 10월 28일 은행연합회 중회의실에서 개최된 금융위원장-은행업계 간담회에 참석했다.

[보도자료] 보스턴컨설팅그룹(BCG) 김윤주 MD 파트너, 금융위원장-은행업계 간담회 참석 2

[금융위원장-은행업계 간담회 참석자 기념사진 (좌측 첫 번째: BCG 김윤주 MD 파트너) © 금융위원회 제공]

 

이번 간담회는 고승범 금융위원장과 함께 7개 시중 은행장(진옥동 신한은행장, 허인 국민은행장, 권광석 우리은행장, 박성호 하나은행장, 권준학 농협은행장, 임성훈 대구은행장, 서호성 케이 뱅크 대표) 및 유관기관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은행업의 미래와 경쟁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김윤주 MD 파트너는 이번 간담회에서 ‘경영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은행들의 미래 대응전략’을 제안했다. 김윤주 MD 파트너는 “플랫폼 2.0 시대에는 메가플랫폼이 아니라도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는 의미 있는 플랫폼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금융플랫폼도 이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고 “메타버스 시대로의 발전에 따라 분산원장기술(DLT) 방식의 탈 중앙화된 금융시스템(De-Fi)이 확산되기 때문에 은행은 이를 사업화, 기술 측면에서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한 은행은 미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래형 사업-운영 모델 구축과 고객 신뢰 확보라는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
보스턴컨설팅그룹, ‘브이노믹스 기업생존전략’ 발간 /vnomics-company-surviving-strategy/?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vnomics-company-surviving-strategy Wed, 06 Oct 2021 05:10:09 +0000 /?p=3898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코리아 오피스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은 ‘브이노믹스 기업생존전략‘을 발간했다. 감염병 시대에 턴어라운드로 반등하는 기업의 전략이나 BCG 글로벌 석학들이 밝히는 미래 생존 코드를 소개한다.

기업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며 노하우를 축적한 BCG가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기업에 전하는 경영 전략이 영역별로 생생하게 담겨 있다. IT기업이나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기업의 유일한 활로라 할 수 있는 디지털 혁신의 현실적인 지침서가 될 것이다.

브이노믹스 기업생존전략

뉴노멀의 비현실적인 동시성 ‘호황과 파산 사이‘

이 책에서는 코로나 19로 세계 경제 전반에 짙은 그림자가 드리운 가운데 다른 한쪽에서는 정반대의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에 주목한다. 코스피 지수 사상 최초 3000 돌파, 삼성전자 사상 최대 매출 기록, 네이버와 카카오 사상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 기록 경신 등 코로나 호황이 코로나 파산과 함께 일어나고 있다.

이런 ‘호황과 파산 사이’ 비현실적인 동시성에 주목한 책은 코로나 19가 단순한 위기가 아니라 ‘가속 촉매’였다고 말한다. 갑작스러운 위기에 모두 갈등과 불안을 겪었지만 ‘비상 상황’은 짧은 시간 안에 ‘일상’의 뉴노멀로 자리 잡았다. 이 가운데 경쟁력 없는 산업이나 기업은 점점 쇠퇴하고 쇠퇴 속도 역시 전례 없이 빠르다. 시대 트렌드와 사람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산업은 앞으로 수요가 더 늘 것이라 강조한다. 또 그 곡선의 기울기 역시 ‘디지털’이라는 지렛대 덕분에 2, 3배가 아닌 거듭제곱으로 급속히 진행될 것이라 짚는다.

브이노믹스 기업생존전략

턴어라운드에 성공한 국내 기업 사례와 액션 플랜

이 책은 BCG의 글로벌 석학들이 머리를 맞대고 연구한 논의와 제안을 담고 있다. ‘뉴노멀’ 환경에서 도태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 이기는 기업으로 부상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다. 그 전체를 아우르는 키워드는 ‘턴어라운드’다.

책은 격변의 시대 속에 기업이 관성에서 벗어나 이뤄내야 할 구조적 변화를 끌어내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세부적으로는 많은 기업이 애자일 조직으로의 변신을 시도했으나 왜 확산에 실패했는지, 애자일 조직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기업의 비결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일의 미래와 제조업의 미래까지 디테일하게 보여준다.

특히 책에 제시된 실제 기업 사례를 통한 구체적인 액션 플랜은 현장감이 넘친다. 구매, 프로젝트 관리, 가격정책, 세일즈 등 기업에서 매일 일어나는 핵심 기능을 어떻게 재탄생시킬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며 디지털을 지렛대로 실제 변화를 이룬 기업 사례를 담았다. 기업과 개인의 삶의 모습을 통째로 뒤바꿀 공간의 미래, 스마트 시티의 청사진을 그려보며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엿볼 수 있게 돕는다.

브이노믹스 기업생존전략

 


저자소개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코리아 오피스 공동 집필 팀

  • 고동현 MDP(Managing Director Partner). 테크, 미디어, 텔레콤(TMT) 분과 및 BCG 글로벌 반도체 분과 핵심 멤버.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배터리, 휴대폰, 가전 등 하드웨어 장비산업 프로젝트 경험이 풍부.
  • 김민지 MDP. 15년의 컨설팅 경력을 보유한 산업재 분과의 핵심 멤버. 기계, 기기, 자동차, 로봇 및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전략, 신사업, 혁신 관련 전문.
  • 김창욱 파트너. TMT 분과에서 반도체 전 밸류체인과 메모리, 로직, 아날로그의 다양한 제품군에 대한 지식과 프로젝트 경험을 보유.
  • 김창일 상무. BCG의 산업재, 오퍼레이션 분과 핵심 멤버이며 인재 전략 분과 멤버.
  • 송지연 파트너. 유통·소비재 분과의 핵심 멤버이자, 마케팅&세일즈, 오퍼레이션 분과 멤버로 참여.
  • 오승욱 MDP. BCG 도쿄 사무소와 서울 사무소에서 조선/해양, 플랜트, 건설, 중공업, 해운 등 산업재 기업 대상으로 20년 이상 경영자문을 제공.
  • 이도은. BCG 글로벌의 인프라·도시·교통(Infrastructure, Cities & Transportation) 분과 소속으로, 미래 도시 센터(Center for Future of Cities)의 핵심 멤버.

 

 

뉴스레터 구독하기

 

 

 

]]>